To see the desired glossary, please select the language and then the field of expertise.

    Accueil Compare [close]
    • coréen
      • Comptabilité
        • Search
          • Term
            • 발생주의 회계
          • Additional fields of expertise
          • Definition(s)
            • 실제 현금흐름과 관계없이 '예측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거래를 기록하는 것. - 회계정보는 발생주의에 따라 기술됩니다. 발생주의란 현금흐름이 실제 나타났느냐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회계적 의미가 있는 거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하는 것입니다. 경제적 활동에 관련된 효익과 비용의 기록이 현금을 주고 받는 실제 시점과 분리되어 있습니다. 어떤 회사가 새로운 바이어에게 제품 제공을 계약하고 제품을 공급했습니다. 그 계약을 통해서 현금을 받은 것이 하나도 없어도 매출로 기록됩니다. 그리고 그 계약을 완수하기 위해 들어가는 미래의 비용 역시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이렇게 실제 현금흐름과 관계없이 '예측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거래를 기록하는 것이 발생주의 회계입니다. EMH - by Joon Oh
          • Example sentence(s)
            • 발생주의회계(accrual basis accounting) (등록일 : 2004/12/28) 기 업의 재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한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인정하는 회계방법으로 현금이 오갈때에만 기록을 하는 현금주의와는 반대 방식이다. 예를 들어 보유자산의 가격이 변동했을 때 현금주의에서는 이를 기록하지 않지만 발생주의 회계에서는 가격 변동분을 반영한다. - HanKyung by Joon Oh
            • 현금흐름(cash flow)상의 이익과 회계적이익 기업의 실제 현금흐름은 회계장부상의 기록과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회계장부상의 매출이나 비용 등은 발생주의 회계(accrual accounting)에 의거해서 기록됩니다. 경제적 의미가 있는 거래가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이 되므로 실제로 현금유입이나 현금유출이 일어나지 않았어도 장부상에는 매출이나 비용으로 기록됩니다. 매출채권이나 매입채무 등에서와 같이 거래의 발생시점과 실제 현금흐름이 나타나는 시점이 다릅니다. 바꿔 얘기하면, 회계장부상의 기록은 화폐의 시간가치가 고려되지 않은 기록입니다. 예컨데, 비용 인식 시점을 생각해 봅시다. 앞으로 5년 정도 사용할 기계를 오늘 1억원을 주고 구입했습니다. 이 때 실제 비용은 오늘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회계장부상에는 앞으로 5년간 매년 비용으로 산정되어 나가게 됩니다. 이를 감가상각(depreciation;현금유출이 없는 비용)이라고 합니다. 내년에는 실제 현금 유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계의 경제적 실질 가치가 줄어드는 만큼 비용으로 장부상에 기재됩니다. 자산이 활용되어 수익을 창출하는 것과 그 비용을 매칭하기 위해서 자산의 내용연수로 나눈 만큼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실제 현금유출이 장부상의 비용과 전혀 다른 시점에 이뤄집니다. 수익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매출이 발생했는데 대금은 5년 뒤에 받기로 한 경우, 회계장부상에는 지금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실제 현금유입은 5년 뒤에 일어납니다. 회계장부상의 이익은 실제 현금흐름에 따른 이익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간혹 흑자도산이 일어나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장부상으로는 큰 이익을 기록하고 있더라도 현금흐름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 기업의 계속성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현금흐름 경영"이라는 경영 방식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전사적으로 기업 활동을 현금흐름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건강은 실제 현금이 얼마나 원할하게 흘러가는가에 달려 있기 때문에 재무적인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제조과정, 마케팅, 전략, 기타 모든 부분을 풍부한 현금흐름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조직화하는 것입니다. 현금흐름을 무시하고 오직 장부상의 순이익과 장부상의 매출을 늘리는 것에만 신경을 쓰는 경우 건강한 기업이 되기 힘듭니다. 확실한 현금유입이 보장되지 않는데도 밀어내기식으로 매출을 늘려서 장부상의 숫자만 키우는 식의 경영은 부메랑처럼 되돌아 와서 큰 댓가를 치루게 합니다. 자본예산편성은 회계적 이익이 아닌 실제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상당 기간 대규모의 자금이 투하되어야 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사안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계적이익만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기업 현금흐름에 중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 추정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 DAUM 지식 by Joon Oh
          • Related KudoZ question
  • Compare this term in: serbe, croate, albanais, arabe, bulgare, tchèque, chinois, danois, allemand, néerlandais, grec, anglais, persan (farsi), finnois, français, hindi, hongrois, italien, japonais, macédonien, polonais, portugais, roumain, russe, slovaque, slovène, suédois, turc, ukrainien

The glossary compiled from Glossary-building KudoZ is made available openly under the Creative Commons "By" license (v3.0). By submitting this form, you agree to make your contribution available to others under the terms of that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